맨위로가기

벨기에 철도 25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기에 철도 25호선은 1835년 브뤼셀과 메헬렌을 잇는 노선으로 개통되었으며, 유럽 대륙에서 증기 기관차를 사용한 세 번째 철도이다. 이후 안트베르펜까지 연장되었고, 1935년 전철화가 완료되었다. 현재는 여객 열차 전용으로 사용되며, 최고 속도는 시속 140km이다. 25N선은 메헬렌 남쪽에서 브뤼셀 공항으로 연결되는 노선으로, 3,000V 직류로 전철화되어 최고 160km/h로 운행할 수 있다. 25호선은 다양한 국내 및 국제 열차 노선이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철도 노선 - HSL 4
    HSL 4는 벨기에 안트베르펀 중앙역 지하 터널을 중심으로 유럽 고속철도 네트워크의 연결성을 강화하며, 네덜란드 연결, 노르더케멘역, 태양광 발전 터널 등의 특징을 가진 고속철도 노선이다.
  • 벨기에의 철도 노선 - 벨기에 철도 27호선
    벨기에 철도 27호선은 스하르벡에서 안트베르펜까지 이어지는 복선 철도 노선으로, 1908년부터 1934년까지 순차적으로 개통되었으며 IC, L, S33 열차 등이 운행되고 25호선과 연계되어 27/1호선, 27/2호선 등의 연결선을 갖는다.
벨기에 철도 25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명벨기에 철도 25호선
원어 노선명Spoorlijn 25 / Ligne 25
전체 노선도
전체 노선도
종류간선 철도
국가벨기에
상태영업 중
기점브뤼셀 북역
종점안트베르펜 루흐트발 역
개통일브뤼셀 그뢴드리프 - 메헬렌: 1835년 5월 5일
메헬렌 - 안트베르펜 중앙: 1836년 5월 3일
안트베르펜 중앙 - 안트베르펜 루흐트발: 2007년 3월 25일
전 구간 전철화: 1935년
영업 거리47.6km
궤간1435mm
전철화직류 3000V
소유자인프라벨
운영자NMBS/SNCB
선로복선
영업 최고 속도브뤼셀 북 - 안트베르펜 중앙: 140km/h
안트베르펜 중앙 - 안트베르펜 루흐트발: 90km/h
노선도
벨기에 철도 25호선 노선도

2. 역사

1835년 5월 5일, 브뤼셀 그뢴드리프 역에서 900명의 승객을 태운 첫 열차가 메헬렌으로 출발하면서 벨기에 철도 25호선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 열차는 영국의 로버트 스티븐슨이 제작한 기관차로 견인되었으며, 유럽 대륙에서 세 번째로 개통된 증기 기관 철도였다.[1] 건설 비용 절감을 위해 브뤼셀 외곽 빌부데와 메헬렌을 경유하도록 설계되었다. 이후 노선은 확장과 전철화, 현대화를 거치며 발전을 거듭했다.

2. 1. 초기 발전

1835년 5월 5일 브뤼셀 그뢴드리프 역에서 900명의 승객을 태운 첫 열차가 메헬렌을 향해 출발하였다. 당시 열차를 견인한 기관차는 영국의 로버트 스티븐슨이 제작한 화살(Pijl), 코끼리(Olifant), 스티븐슨이다.[1] 메헬렌까지 걸린 시간은 45~55분이었다.[1] 유럽 대륙에서 세 번째로 개통된 증기 기관 사용 철도이다.[1] 건설 비용을 줄이기 위해 브뤼셀 외곽 지역 빌부데와 메헬렌을 통과하였다.[1]

메헬렌은 새로 건설된 철도의 중심지가 되었다.[2] 모든 열차는 이 역을 지나 남쪽으로는 브뤼셀 및 프랑스, 북쪽으로는 안트베르펜(안트베르펜 항 포함), 서쪽으로는 오스텐더, 동쪽으로는 뢰번, 루이크, 베르비에로 갔다.[2]

1836년 5월 3일 메헬렌-안트베르펜 구간이 개통되었고, 안트베르펜 중앙역이 영업을 시작하였다. 1841년 9월 26일 브뤼셀 그뢴드리프 역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남쪽으로 1km 연장되었고, 1846년 도심과 가까운 브뤼셀 북역이 개업하였다.

2. 2. 확장 및 전철화

1907년 스하르벡과 메헬렌 부근 뮈젠 사이를 잇는 복선 노선 27호선이 개통되어 복복선 효과를 가져왔다. 메헬렌 북부 구간은 1930년 복복선화되었다.[1] 기존 노선과 새 노선은 약간의 경로 차이가 있다.[1]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사이에 전철화되었다.[1] 1935년 5월 5일, 노선 개업 100주년을 맞아 직류 3000V 전철화가 완료되었다.[1] 이날 레오폴 3세 국왕이 탑승한 첫 전기 열차는 메헬렌에서 한 번 정차한 것을 제외하고 노선 전체를 시속 120km로 31분 만에 주파하였다.[1]

2. 3. 현대화

1952년 브뤼셀 북남 연결선 개통과 함께 브뤼셀 북역이 개축되었다.[1] 1997년 안트베르펜 중앙역의 승강장 10개 중 4개가 철거되고 지하 승강장을 위한 채광창으로 변경되었다.[1] 당시에는 안트베르펜 북남 연결선이 개통되지 않았기 때문에 선로 용량이 대폭 감소하였다.[1] 2007년 3월 25일 안트베르펜 북남 연결선이 개통되어 25호선에 편입되었다.[1] 이로써 종점이 안트베르펜 루흐트발 역으로 연장되었고, HSL 4와 12호선에 연결되었다.[1]

현재 25호선은 여객 열차 전용이며, 화물 열차는 인접한 27호선으로 운행한다.[1] 운행 최고 속도는 시속 140km이며, 콘티히-베르헴 사이는 시속 160km, 안트베르펜 지하 터널에서는 시속 90km이다.[1]

3. L25N

최근 추가된 노선은 25N선으로, 메헬렌 남쪽에서 분기하여 E19 고속도로를 따라 디아볼로를 거쳐 브뤼셀 공항으로 연결된다. 2019년 기준으로, 메헬렌역을 통해 이 25N선을 연장하여 승강장 2개를 추가하고, 네커스푸엘역 북쪽에서 "정규" 25번선과 합류하는 공사가 진행 중이다.[2]

L25N은 3kV 직류로 전철화되어 있으며, 최고 160km/h의 속도로 운행할 수 있다.

4. 역

모든 역에 고상 플랫폼이 설치되어 있다. 이는 전철화 초기에 운행했던 전기 철도 열차가 고상 플랫폼 전용이었기 때문이다.[1]

5. 운행 열차

벨기에 철도 25호선에는 국제 열차와 국내 열차가 운행한다. 국제 열차로는 탈리스파리 북역에서 브뤼셀, 안트베르펜 중앙역을 거쳐 암스테르담 중앙역까지 하루에 몇 차례 운행된다. 국내 열차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주요 구간은 브뤼셀 남역-안트베르펜 중앙역이다. 출퇴근 시간에는 P 열차가 다닌다.

5. 1. 국제 열차

열차 종류구간배차 간격
탈리스파리 북역 - 브뤼셀 - 안트베르펜 중앙역 - 암스테르담 중앙역1일 수회


5. 2. 국내 열차

열차 종류구간배차 간격
IC B브뤼셀 남역 - 안트베르펜 중앙역 - 암스테르담 중앙역 (베네룩스트레인)1시간당 1회
IC I샤를루아 남역 - 브뤼셀 - 안트베르펜 중앙역1시간당 1회
IC N샤를루아 남 - 브뤼셀 - 안트베르펜 - 에센1시간당 1회
IC R브뤼셀 남역 - 투른호트1시간당 1회
IR n브뤼셀 남역 - 안트베르펜 중앙역1시간당 1회
IR d안트베르펜 중앙역 - 브뤼셀 - 헤라르스베르헌/도르니크/코트리크1시간당 1회
L브뤼셀 남역 - 안트베르펜 중앙역1시간당 1회
P다양함출퇴근 시간


참조

[1] 웹사이트 Ligne 25 : Bruxelles-Nord - Antwerpen-Centraal http://www.belrail.b[...] 2007-08-10
[2] 뉴스 Transformatie Mechelse stationsomgeving definitief van start http://www.knack.be/[...] Knack 2013-0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